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한 번만 보면 완성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를 처음 운전하는 초보운전 시절에는 과태료나 범칙금 문제가 없었습니다. 처음 운전을 하다 보니 항상 긴장을 하고 조심해서 운전했기 때문인데요. 그러다가 3년이 넘으면서 운전이 익숙해져 내비게이션에 집중을 못하다 보니 신호위반과 같은 과태료가 자주 나오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저와 같은 분들을 위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이용가능한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목차
신호위반이란?
신호위반 과태료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방법
모바일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방법
신호위반이란?
신호위반은 신호기나 교통정리를 하는 경찰 등의 신호나 통행 정지 또는 일시정지를 의미하는 안전표지의 지시를 위반한 경우로 신호교차로에서 사천출발, 황색신호 진입 등 신호기의 내용을 위반하고 진행한 경우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적색신호에서 직진 또는 좌회전한 경우, 정지선을 아직 넘지 않았으나 황색신호에 직진 또는 좌회전한 경우, 비보호 좌회전 표지가 없는 교차로에서 녹색신호에 좌회전한 경우, 유턴 신호가 지정된 장소에서 그 신호에 따르지 않고 유턴한 경우 등이 있습니다.
신호위반 과태료
신호위반 과태료와 범칙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도로 과태료: 승용차 7만원, 승합차 8만 원, 이륜차 5만 원
- 보호구역 과태료: 승용차 13만 원, 승합차 14만 원, 이륜차 9만 원
- 일반도로 범칙금: 승용차 6만 원, 승합차 7만 원, 이륜차 4만 원 (벌점 15점)
- 보호구역 범칙금: 승용차 12만 원, 승합차 13만 원, 이륜차 8만 원 (벌점 30점)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방법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를 하려면 먼저 경찰청 교통민원 이파인 홈페이지로 이동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다음 포털 검색의 바로가기를 이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용이 어려우시다면 아래를 통해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efine.go.kr/
- 광복절(8·15) 운전면허 행정처분 특별감면 실시! - 새정부 출범 및 제77회 광복절(8·15)을 기념하여 민생안정을 위해 국민생활과 밀접한 운전면허 행정처분 특별감면을 '22. 8. 15.(월) 00:00에
www.efine.go.kr
이파인 홈페이지 메인 페이지 본문에서 그림에 표시된 바로가기> 최근 단속내역을 선택합니다. 여기에서는 미납과태료나 범칙금, 착한 운전 마일리지 등을 조회할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하면 간편 인증이나 금융인증서, 공동 인증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을 완료하면 신호위반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위반내역이 이파인에 반영되려면 1~2일 정도 소요됩니다.
모바일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방법
다음은 모바일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경찰청 교통민원 24’ 어플을 조회하고 다운로드합니다. 교통민원 24 어플에서는 최근 무인 단속내역, 미납과태료, 미납 범칙금, 기납과태료, 착한 운전 마일리지 신청 등이 가능합니다.
어플을 실행하면 상단 메뉴 가장 좌측에서 ‘최근 무인 단속내역’을 터치합니다. 최근 무인단속내역에서 과태료 내용을 위반 장소, 위반일시, 위반내용, 차량번호 등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본인 동의 후 과태료를 범칙금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나 법인의 경우 법인 번호를 선택하면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가 가능합니다. 미납과태료를 납부하려면 인터넷지로 모바일앱을 설치하고 납부하시면 됩니다.
어플 내에서 최근 단속내역 상세 메뉴를 선택하면 차량번호, 범법 번호, 위반일시, 위반내역, 관할 경찰서, 관서 연락처, 과태료 금액, 위반 장소, 위반 사진 등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과태료는 단속 카메라로 인해 적발될 경우 부과되지만 범칙금은 경찰관에게 직접 단속될 경우 부과된다는 점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범칙금은 과태료에 비해 금액이 적지만 벌점이 생기므로 나중에 보험료 할증의 위험이 있으니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퇴직연금 수령방법
퇴직연금 수령방법을 소개합니다, 대한민국의 물가는 꾸준히 상승하여 요즘에는 고물가 시대가 되었습니다. 10년 전 3~4000원에 먹을 수 있었던 냉면이 요즘에는 만원 이상으로 거의 두배 이상 상
nice.momalgi.com